재테크

롱 포지션, 숏 포지션을 활용해서 돈을 벌자

다정한 고양이 2021. 5. 13. 18:21

롱 포지션, 숏 포지션을 활용해서 돈을 벌자는 생각을 하고 계신가요? 최근 5월 3일에 공매도 재개가 되면서 논의가 활발해지며 공매도 이슈로 롱포지션과 숏포지션에 대해 관심이 많습니다. 개미들과 헤지펀드들 간의 신경 싸움으로 주식을 사서 갚는 매매 수법입니다.

앞에서 공매도 주식에 관한 설명 해드렸습니다. 이전 포스팅 한번 재밌게 봐주시고요. 일단 공매도를 간단히 설명을 드리자면 주식이나 채권을 보유하지 않은 상태로 빌려서 매도를 하고 하락했을 때 다시 매수해서 갚은 것을 공매도라고 합니다.

 

숏포지션과 롱포지션은 무엇인가

3월에도 4월에 상승하겠지 그런 기대감으로 버티다 5월까지 계단식 하락으로 고통스러운 나날들을 보내고 있습니다. 코인으로 자본이 흘러들어 가기도 하고요. 우리가 추락하는 시장에 안전벨트만 매고 있을 수는 없지요. 어떻게 하면 기나 긴 하락장에서 수익을 낼 수 있을까요. 요즘 들어 주식장이 큰 조정을 받고 어디가 끝인지 모를 하락장을 겪고 있으니 눈물만 납니다.

숏은 짧게라는 뜻으로 빨리 하루 만에 팔면 숏이고 롱은 길게라는 뜻이니까 길게 팔면 롱포지션입니다.라고 말하면 떙!입니다. 그런 의미에서의 롱포지션도 쇼트 포지션도 아닙니다. 하루 만에 팔아도 롱포지션이 될 수 있습니다.

롱포지션이란(long posirion)

내년 혹은 몇년 후에는 왠지 물가가 더 오를까 봐 걱정되시죠. 맞아요. 중장기적으로 보면 물가는 당연히 오르고 주식도 상승하죠. 시장은 계속 물가가 올라가고 정부는 계속해서 기업에 돈을 풀고 기업들이 벌기 때문이죠. 그러므로 장기적으로 길게 보고 주식 가격이 상승할 걸 예측하고 롱 포지션으로 주식 상승에 베팅하는 것입니다. 

한번  그동안 코스피와 나스닥의 차트를 비교해보면 그동안 10년 동안 꾸준히 상승했음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중간중간 작은 하락도 몇번있었지만요. 그러므로 주식 가격이 오를 거란 시대로 롱 포지션을 하는 것입니다. 

 

공매도에 대처하는 자세와 교육이수 하는 방법

공매도가 무엇이길래 끊임없이 말들이 많고 막아야 된다는 청원글에도 올라오고 찬성이니 반대이니 작년부터 시끌벅적하게 논쟁이 생겼는데 5월 첫 공휴일을 맞이하였습니다.  

honeyjaetech.tistory.com

숏포지션(short position) 

조정장에서 주가가 떨어지면 물론 돈을 벌수 있어요. 롱포지션은 누구나 거의 예측이 가능하지만 단기적으로 하락장에서 돈을 벌고 싶을 때 숏트 친다고들 하는데요. 이제 뭔가 이해가 되셨죠?

예1) 한국 마트라는 주식이 있는데 2월 5일 80,000원입니다. 저는 공매도나 악재가 겹쳐서 주가가 앞으로 크게 하락할 거 같다는 생각에 친구에게 한국 마트 주식을 10주 빌립니다. 그래서 빌려서 다 80만 원에 팝니다. 그 후 예상한 대로 경제 악화로 4월 1일에 한국 마트가  한 주당 70,000원으로 떨어져서 70만 원에 매수를 합니다. 그리고 친구에게 빌려준 수수료를 갚습니다. 

그럼 주가가 하락하면서 800,000에서 700,000만 원을 제하면 100,000이라는 돈에서 수수료를 제하고도 돈을 벌게 되었네요.  

예 2) 한국 마트가 내 예상과는 다르게 하락을 하지 않고 오히려 상승했습니다. 예를 들어 2월 1일에 80,000 원했던 게 하락하지 않고 4월 20일에 100,000원 하면서 20,000만 원을 손해 보게 되었습니다.

이런식으로 주가 하락을 기대하고 투자하면 숏포지션입니다. 위 예 2는 망한 예시이지만 단기적으로 주가는 오르락내리락 반복하므로 단기간의 주가 하락으로 수익을 얻는 것을 숏 포지션이라고 합니다.

 

하락기 대비

지금까지 정리를 하자면 앞으로도 주식은 꾸준히 상승합니다. 중간중간 하락기를 거치지만 왜 이런 확신을 하냐면 기업에 막대한 돈을 풀기 때문에 그 돈을 먹는 것은 우리 몫입니다.  그러므로 하루 만에 주가가 올라서 파는 롱포지션은 주가 상승에 투자를 하는 포지션,  그러나 중 장기적으로 떨어질 기업의 주가 투자는 하락을 기대하는 숏포지션 투자를 합니다.

 

투자 기업의 역사적 배당률 범위 고르기 팁

흔히 고배당주, 배당투자라고 하면 고배당에만 집착을 하시는데 현재의 고배당률에만 집착하다 보면 수많은 좋은 기업들을 놓치게 됩니다. 미국의 배당주들은 분기에 한 번씩 배당금을 증액할

honeyjaetech.tistory.com

 

이렇게 전체적으로 나스닥이나 코스피 지수가 올라도 개별종목은 하락할 수 있기 때문에 쇼트 포지션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많이 힘든시기인건 저도 인정합니다. 숏과 롱은 무엇보다 타이밍 매수 매도를 잘해야 하는데 그 시기를 잡기가 매우 어렵고 하락할 경우 시세를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에 손절도 늦지 않도록 잘 타이밍 봐서 매도하셔야 합니다.

 

2시간에 걸쳐 롱 포지션, 숏 포지션을 활용해 돈을 벌 수 있는 정보를 모아봤습니다. 이글을 읽는 분들은 1분 컷으로 읽고 넘길테지만 저는 소중한 글임을 잊지 말아주세요.